<출처 - 현묘의 사주명리 2기 입문 2강>
※ 간지, 주역 오행, 음양, 24절기 등이 각각 분화 ·발전되어 AD 85년 간지의 음양오행과 천문, 달력의 완벽하한 결합으로 명리학이 시작된다.
간지 - 상(은) 나라 갑골문에 등장/음양오행과 결합되지 않음.
주역 - 음양이라는 단어 자체가 쓰이지 않음.
서영의 "홍범"의 오행 - 오행의 관계와 상생상극에 관한 표현이 드러나지 않음.
나중에 노자가 활동했던 남부지역인 형초지방에서 유/무 사상의 태동발전 이후 꾸준히 발전하여 음양사상으로 확립됨. 전국시대(기원전 3세기)에 이으러 음양가(추연)에 의해 오행 사상과 함께 통합되어, 음양 오행 사상이 정립됨.
24절기-BC 3세기 무렵에 태양의 관찰을 통ㅎ애 일관적이고 과학적인 달력(양력)의 체계가 준비됨.
1) 천간(天干)
2) 지지(地支)
오행의 음식과 건강 (0) | 2023.05.24 |
---|---|
십신으로 바라본 천간의 특징(by 하건충) (0) | 2023.05.23 |
천간의 의미(2) (0) | 2023.05.15 |
천간의 의미(1) (0) | 2023.05.09 |
오행의 생과 극 (0) | 2023.05.09 |
댓글 영역